Mac

[Mac] Mac을 위한 공짜 가상머신 프로그램 VirtualBox - 가상머신(Windows 7) 만들기

broadstar 2012. 1. 23. 16:29

- 가상머신(Windows) 설치
- 공인인증서를 이용한 금융거래
- Daum팟플레이어로 EPL보기


- Mac에서 Windows7 돌리기 -

Mac에서 Windows를 돌리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다..

1. 부트캠프

- 무료
2. 가상머신 Virtual Machin(VM)
VirtualBox: 무료!! 

- 2012년 1월 23일 기준 VMware Fusion, Parallels 가격 (링크포함) -
  
이 글에서는 Mac에서 가상머신(VirtualBox)을 이용하여 Windows 돌리는 방법을 설명하려한다.

Mac을 지원하는 가상머신은 크게 위의 세가지이다. Windows에서 많이 사용해본 VMware를 선택하려 했으나 그것은 VirtualBox를 알기전!나에게는 무료라는 이유 하나만으로도 VirtualBox 는 1순위 VM이다. 거기다 VirtualBox는 무려 Oracle에서 만든 제품이다.(정확하게는 SUN이겠지만...) 또한 Windows를 깔아보고 글을 쓰는 시점에서 VirtualBox 의 완성도 퀄리티는 훌륭하다.

잡담 :
Mac을 사용하면서 Windows가 필요한 경우가 그리 많지는 않을것이다. 나같은 경우에는 금융/주식 거래를 위해 공인인증서 인증이 필요하며, 현재 내처지에서 프리미어리그를 고화질로 보기위한 유일한 방법인 Daum의 HD중계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다음팟플레이어를 사용해야하는데 Mac은 지원하지 않는다. ㅠ_ㅠ 내 Mac시스템 성능을 최대한 끌어올려 Windows의 무언가를 해야하는것도 없기 때문에 부트캠프의 필요성은 전혀 느껴지지 않는다.
 


시작!!

기본적으로 VirtualBox가 설치되어야 할것이고, 설치할 OS(여기선 Windows 7)의  iso 파일이 필요하다.
(iso파일은 큰 어려움 없이 구할 수 있을것이다.)


위 링크로 바로 다운을 받던가

VirtualBox 웹페이지
링크 ->
 http://www.virtualbox.org 

위 링크로 들어가서 좌측프레임의 Downloads 클릭  ->  자신의 OS(Mac)에 맞게 다운로드를 한다.





- 빨간색 박스를 더블클릭! -
설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


 

- '새로만들기' 클릭! -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가상머신을 한대를 만들어보자. 컴퓨터 한대를 생산한다고 보면 된다. 


 

- '계속' 클릭! -
볼것도 없다. 



- 사용할 가상머신의 이름입력후 '계속' 클릭! -
가상머신의 이름을 정한다. 이름을 Windows까지 입력하니 밑에 버전이 Windows로 바뀐다. 개발자느님들의 센스가 느껴지는 부분이다. 7 까지 입력하니 버전 또한 7로 완벽해졌다. 버전은 32bit 64bit 당연하겠지만 리눅스 등이 있다.(Mac도 있다....해킨토시의 악몽이 떠오른다 ㅡㅡ;)



- 가상머신에서 사용될 메모리(RAM)의 크기를 입력후 '계속' 클릭! -
자신의 메모리크기가 크다면 넉넉하게 많이주자. 나야 뭐...인터넷뱅킹 + 다음팟플레이어를 통한 프리미어리그HD중계시청 밖에 할게없으니...
참고로 이때 설정한다고 해도 나중 언제든 메모리를 늘렸다 줄였다 할 수 있다. 윈도우 설치때 시간을 단축하고 싶으면 메모리를 크게 주고, 설치가 끝나고 메모리 크기가 불필요하게 크다 싶으면 줄이면 되는 것이다.


 

- 기존 가상 하드 없으면 Default 값으로 '계속' 클릭! -
가상머신이 사용하며 OS가 들어가게될 하드를 생성해야한다. 권장하는 부팅 하드디스크 크기가 20GB라고 나와있는데...글쎄... ㅡㅡ;



- 'VDI' 선택 -> '계속' 클릭! -
취향에 맞게 선택하면 되겠다. 이걸보니 기존의 사용하던 VMware의 리눅스 서버를 가져올 수 있지 않을가 싶다. VMware 가상디스크의 확장자가 뭐였는지 확인해 봐야 겠다.



- 취향에 맞게 선택후 '계속' 클릭! -
이부분도 딱히 부가 설명은 필요 없을듯 하다. 누구나 빵빵한 하드를 가지고 있는 이시기에 고정 크기 추천. SSD면 또 이야기가 달라지겠지만..



- 가상하드의 크기를 정하고, 가상하드 파일이 위치할 곳을 지정후 '계속' 클릭! -
하드 크기는 취향에 맞게 설정한다. 참고로 Windows 7 의 크기가 10GB보다 조금 더 된다. 난 여기에 + Office + 한글 + 기타 정도를 고려하였다. 
참고로, Default 위치는 '/user/사용자이름/' 이다.



- '만들기' 클릭! -
만들기를 클릭하면 가상디스크가 생성된다. 50GB의 가상디스크 생성은 생각보다 오래 걸렸다.



- '만들기' 클릭! -
만들기를 누루면 50GB의 하드와 1536MB의 RAM과 CPU, VGA, 랜카드 등등이 갖춰진 컴퓨터가 만들어진다.





- '설정' 클릭! -
이제 각종 설정을 해줄 것이다. 앞으로 설명할 글들을 보면 알겠지만, 공.짜. 프로그램 치고는 부족함이 없다는것을 느끼게 될 것이다. 설정은 언제든 변경할 수 있다.


 

- 필요없는 부분은 빼준다 -
이제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설정을 해보자. 먼저 위 사진처럼 부팅순서 설정을 해주자. '플로피 디스크' 같은 경우 정말 특수한 경우아니면 사용할 일이 없기 때문에 체크를 해제해 준다.



- 그래픽카드 성능을 설정 -
Default값에서 조금 더 높여주었다. 큰 의미는 없겠지만...



- 네트워크어댑터 설정 -
특수한 경우가 아니라면 NAT 또는 브릿지 를 선택해서 사용하면 된다. 난 내 시스템과 취향에 맞게 '브리지 어댑터' 선택. 공유기 없는 가정집이라면 NAT선택. 뭘 해야될지 잘 모른다 싶으면 NAT 추천. MAC 주소도 맘대로 설정할 수 있다. 물론 나중 언제든 말이다.



- 이미지 파일(iso) 삽입 -
저장소를 클릭해 보면 CD/DVD 드라이브를 조작할 수 있게 되어있다. 시디모양아이콘을 클릭! -> '가상  CD/DVD디스크 파일 선택...' 을 클릭! -> 가지고 있던 Windows iso파일을 선택. 즉, ROM안에 시디를 넣는 개념으로 생각하면 된다.



- 가상머신의 전원을 키기위해 '시작' 클릭! -
자신의 취향에 맞게 설정을 맞췄다면 이제 컴퓨터를 켜보도록 하자. 빨간박스의 '시작' 버튼을 클릭하면 전원이 켜진다.



- Windows 를 설치 -
가상머신이 iso 파일이 삽입된 디스크를 부팅순서 첫번째로 인식하면서 정상적으로 설치가 진행되고 있는 모습니다. 옆의 dock을 보면 알겠지만 Mac에서 Windows 7이 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설치에 관해서는 따로 설명하지 않겠다. 한가지 이해해야 하는 부분은 가상하드디스크가 처음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적절하게 포맷을 해줘야 한다. 취향에 맞게 파티션 또한 설정한 뒤 평소 Windows를 설치하던것처럼 진행하면 된다.



- Mac에서 Windows 7 설치 완료! -
취향에 맞게 필요한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해상도를 설정해 준다.

시시한 Tip
오른쪽 cmd = 윈도우 버튼
option(alt) = 한/영 버튼


그럼  Windows 7 을 설치한 이유에 맞게 활용해 보도록 하자.
 

- Mac에서 VirtualBox를 이용한 공인인증서 인증 -
잘된다. 여기서 Mac에 꽂아있는 USB가 연동되어야 하는데 이 부분은 조만간 새로운 글로 소개하도록 하겠다.
아래 링크 클릭!


수정전
 
모니터의 해상도를 최대한으로 이용하면서 좋은 화질로 EPL을 봐야한다!! 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두가지 조작이 필요했다.

해상도...
윈도우에 진입한 상태에서  command + d 를 눌러보자. 그러면 CD가 삽입되는데, VirtualBox에서 제공해주는 것으로써, 가상머신을 사용함에있어 좀더 편리한 기능들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삽입된 CD를 설치하자.(설치함에 있어서 어려움은 없을것이라 생각하므로 스크린샷은 생략) 추가된 기능의 전부를 알지는 못한다. 내가 원했던 기능은, 해상도 설정 이다. CD가 삽입되고 Addition을 설치하기 전에는 해상도가 한정되어있고, 내 모니터를 가득 채울 해상도는 존재하지 않았었다. 하지만 Addition을 설치한후에는 해상도 설정을 만질 필요도 없이 가상머신 창의 크기를 변경하기만 하면 저절로 해상도가 변경된다. 즉 창의 + 버튼을 누루면 모니터의 꽉찬 화면(dock자리 제외)의 해상도를 가진 Windows를 사용하게 된다.

Daum팟플레이어...
아무 문제 없을것이라 생각하며 별다른 설정없이 Daum팟플레이어를 통해 HD화질의 EPL을 보는데 이게 왠일?! 


화면이 정돈되지 못하고 세로줄이 보이면서 부자연스러운 영상이 출력된다. 위 스크린샷을 클릭해서 크게 보면 더 정확히 보일것이다. Finder와 Dock을 보면 당연하게 깔끔한 이미지를 보이지만 가상머신의 Windows에서 실행중인 Daum팟플레이어의 EPL중계의 영상이 깔끔하지 못하다. 다른 사람에겐 별 신경쓰일 부분이 아닐지 모르겠으나...난 무진장 신경쓰인다.ㅡㅡ;

해결 방법 먼저 설명을 하자면 영상에서 우클릭 -> 영상 -> 영상 출력 장치 -> OpenGL Video Renderer 클릭!

 
다른 작업을 할때는 화면이 일그러지는 현상이 전혀 없었다. Daum팟플레이어로 영상을 볼때만 생기는 문제이기 때문에 원인은 쉽게 파악할 수 있었다. 코덱 문제말고 더 있겠는가? 하지만 이쪽은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옵션에서 이것저것 만저보며 만족한 결과로 해결.

- 만족스러운 결과 -


마치며... 
VirtualBox 를 알기전 다른 VM 들을 검색해가며 특징들을 살펴보았는데, 분명 VirtualBox에는 없는 부가적인 편의기능들이 존재한다. 그런데...5만원, 8만원이 넘는 금액을 지불하고 사용할 만한 기능들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VirtualBox는 내가 요구하는 사항을 충족시키기에 충분하다.

적극추천!!